자폐성 장애 이야기..on Autism

[스크랩] 한 토막씩 배우는 ABA - <언어 및 학습기능 평가도구> 간략버전

슈퍼맘빅토리아 2014. 8. 19. 04:02

안녕하세요, 또미아빠입니다.

예전에 연구소 아이디로 올렸던 내용인데 재업합니다.


=====


아마 여기 계신 부모님들은 아이를 대상으로 검사나 진단평가를 받으면서 한 두 번쯤 답답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결과지를 보면 무슨무슨 항목의 점수는 몇 점, 발달은 몇 개월 지체, 현재 생활연령은 몇 개월 수준, 하는 식으로 되어는 있는데, 막상 그래서 그 다음엔 뭘 어쩌란 말인지 결과지만 보고는 얻을 정보가 없어서 참 막막했던 경험이지요. 뭐, 사실 평가라는 게 워낙 전문가들의 영역이기는 해요. 또 평가도구를 만드는 작업이 쉽지도 않은 게 사실이구요. 그래서 덴버검사나 베일리검사 같은 건 처음 만들어진 지 4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여전히 이용되는 게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어쩌면 내 아이를 가장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은 매일 24시간을 함께 지내는 부모님들이 아닐까요. 물론 객관적인 눈으로 내 아이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긴 하지만요. 평가란 현재의 기능상태를 파악해서 어떻게 그 상태를 다뤄야할 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니 현재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아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그에 가장 적합한 대처방안을 찾는 일입니다.


이제 아래에 제시한 <언어 및 학습기능 평가>는 바로 집에서 부모님들이 간단히 실시하면서 우리 아이가 지금 어느 정도 수준인지, 그리고 우선적으로 우리 아이에게 어떤 학습이나 훈련을 먼저 실시할 것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도구입니다. 이 평가는 어떤 특정기능을 정확히 측정하는 도구는 아니지만, 발달장애아동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여러 기능을 종합하여 보여주므로 어떤 기능이 높거나 부족한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평가 항목 자체가 곧바로 아이의 IEP (Individual Evducation Plan, 개별교육계획안) 를 세우는 기준이 되므로 매우 유용합니다. 이 평가에서 다루는 영역들이 바로 ABA에서 중재계획을 세울 때 고려하는 대상이며, 이를 근거로 치료계획을 수립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이 평가법은 간략 버전이므로, 보다 자세한 평가와 상세한 IEP를 얻으시려면 전문가의 손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명심해주세요. 어떤 경우엔 여기 나와있는 기능보다 더욱 떨어져 아이가 눈맞춤조차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4레벨을 넘어서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먼저 아래의 12가지 질문을 읽으면서 내 아이가 그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 답해 보세요.



1. 어른에 대한 협조 및 순응 기능

   아이와 함께 과제를 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가요? _________

0. 항상 과제를 회피하고 비협조적이며, 문제행동을 일으킨다.

1. 아이가 정말 좋아하는 강화물을 사용했을 때만 한 두가지 간단한 지시를 따른다

2. 문제행동 없이 5가지 정도의 과제를 수행한다

3. 문제행동 없이 5분 이상 과제를 계속 수행한다

4. 문제행동 없이 10분 이상 착석상태로 과제를 계속 수행한다



2. 요구하기 기능

   뭔가 필요한 것이 있을 때 아이는 어떻게 의사표시를 하나요? _________

0. 전혀 표현을 하지 못하고 문제행동을 일으킨다

1. 옷소매를 잡아 끌거나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필요한 물건 옆에 가서 선다

2.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이를 표시하는 단어나 신호가 1~5개이다.

3.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이를 표시하는 단어나 신호가 6~10개이다.

4. 10개 이상의 단어나 신호를 사용하여 수시로 의사를 표시한다


3. 동작 모방 기능

   아이가 동작을 모방하나요? _________

0. 어떤 동작도 모방하지 못한다

1. 시범을 보여주면 따라할 수 있는 동작이 몇 개쯤 있다

2. 시키면 따라할 수 있는 대근육 동작이 10개 이상이다

3. 시키면 따라할 수 있는 대근육 및 소근육 동작이 각각 10개 이상이다

4. 대부분 대소근육 동작을 쉽게 따라하고 가끔은 자발적으로 하기도 한다



4. 자발어 기능

   아이가 자발적으로 말을 하나요? _________

0. 전혀 말을 하지 못한다

1. 아주 느리게 몇 개의 음을 낸다

2. 고저장단이 있는 음을 여러 개 낼 수 있다

3. 고저장단이 있는 음을 수시로 내며, 단어도 몇 개 말할 수 있다

4. 수시로 말을 하며, 선명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가 매우 많다



5. 언어모방 기능

   아이가 어른의 말을 모방하여 따라하나요? _________

0. 아이가 전혀 모방을 하지 못한다

1. 아이가 모방할 수 있는 음이나 단어가 2~3개 있다

2. 아이가 모방할 수 있는 음이나 단어가 10개쯤 된다

3. 아이가 모방할 수 있는 음이나 단어가 매우 많다

4. 아이가 거의 모든 단어를 모방할 수 있고, 가끔은 간단한 문장도 모방한다



6. 짝 맞추기 기능

   엄마가 제시한 것과 똑같은 물건이나 그림을 아이가 짝을 찾아 맞출 수 있나요? _________

0. 짝 맞추기를 전혀 하지 못한다

1. 아이가 짝을 맞출 수 있는 물건이나 그림이 1~2개 있다

2. 아이가 짝을 맞출 수 있는 물건이나 그림이 5~10개 있다

3. 아이가 짝을 맞출 수 있는 색깔, 도형, 그림이 5~10개 있다

4. 아이가 대부분의 물건 뿐만 아니라 블록쌓기 모양도 몇 개는 짝지을 수 있다



7. 수용성언어 기능

   아이가 말을 알아듣거나 지시를 따를 수 있나요? _________

0. 아이가 말귀를 알아듣지 못한다

1. 매일 반복되는 일과 중의 동작 중 몇 가지에 대한 지시를 따를 수 있다.

2. 어떤 동작을 취하거나 어떤 물건을 만지라는 지시를 몇 가지 따를 수 있다

3. 많은 지시를 따를 수 있으며 25가지 이상의 물건을 포인팅할 수 있다

4. 듣고 나서 포인팅할 수 있는 물건, 동작, 사람, 형용사가 100개 이상이다


8. 이름 말하기

   어떤 사물이나 동작의 이름을 말할 수 있나요? _________

0. 사물이나 동작의 이름을 전혀 말하지 못한다

1. 이름을 말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작이 1~5개 정도이다

2. 이름을 말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작이 6~15개 정도이다

3. 이름을 말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작이 16~50개 정도이다

4. 이름을 말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작이 100개 이상이며 가끔 짧은 문장으로 말한다



9. 사물속성에 대한 수용성언어 기능

   어떤 물건에 대해 설명을 해 주면 아이가 어떤 물건인지 고를 수 있나요? _________

0. 정보에 기초하여 물건을 고르지 못한다

1. 비슷한 이름을 불러주거나 일반적인 속성을 말해주면 몇 개의 물건은 고를 수 있다

2. 물건의 특징이나 그 속성 중 한 가지를 말해주면 고를 수 있는 물건이 10개 정도이다

3. 물건의 기능이나 특징, 범주를 말해주면 고를 수 있는 물건이 25개 정도이다

4. 물건의 기능이나 특징, 범주를 말해주면 고를 수 있는 물건이 100개 이상이다



10. 대화 기술

   아이가 질문에 답을 하거나 문장 속의 빠진 부분을 채울 수 있나요? _________

0. 대화 중 빠진 단어나 노래 중간에 빠진 부분을 채워 부르지 못한다 (예. 엄마: 나비야~나비야~ 아이: ........)

1. 대화 중 빠진 단어를 채우거나 (예) 엄마: 아이, 어두워. 불이.... 아이: 꺼졌어.) 동물 울음소리를 흉내낼 수 있다 (예) 엄마: 강아지는 울 때..... 아이: 멍!멍!)

2. 아이가 10개 문장의 빠진 부분을 채워 넣거나 10개의 간단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

3. 아이가 20개 문장의 빠진 부분을 채워 넣거나 20개의 질문에 대해 다양하게 대답할 수 있다

4. 아이가 30개 이상의 질문에 대해 다양하게 대답할 수 있다



11. 글자/숫자 기능

   아이가 글자나 숫자와 같은 문자를 아나요? _________

0. 숫자, 글자, 문자를 구별하지 못한다

1. 3개 정도의 숫자나 글자를 구별한다

2. 15개 정도의 숫자나 글자를 구별한다

3. 5개 이상의 글자와 5개 이상의 숫자를 구별한다

4. 25개 이상의 글자와 10개 이상의 숫자를 구별한다



12. 상호작용 기능

   아이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먼저 시작하거나 혹은 상호작용을 계속 유지할 수 있나요? _________

0. 아이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시작하지 못한다

1. 아이가 관심있는 사람에게 다가가기는 한다

2.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달라고 아이가 어른에게 요청한다

3. 조금 옆에서 도와주면 다른 아이들과 말을 나눌 수 있다

4. 다른 아이들에게 먼저 다가가 말을 나누는 경우가 자주 있다





다 대답하셨나요?

그럼 이제 아래의 그래프에 각 항목별 레벨에 따라 막대그래프를 색칠하여 완성해 주세요.




그래프를 그리셨다면 이제 한 눈에 우리 아이의 기능들이 대충 어떻게 서로 균형을 맞추고 있는지 보이실 껍니다. 어떤 항목은 레벨이 높겠지만 어떤 항목은 아예 바닥 수준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프의 왼쪽에 놓인 항목일 수록 기본 기능에 속하고 오른쪽으로 갈 수록 고급기능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 왼쪽은 높은 득점을 보이다가 오른쪽으로 갈 수록 점점 막대가 짧아지는 그래프 형태를 보이기 마련입니다. 만일 모든 기능이 비슷비슷한 것 같으면 우선적으로는 왼쪽에 있는 기능들부터 우선적으로 시작하는 게 좋겠습니다. 왼쪽으로 갈 수록 기본 기능에 속한다고 했으니까요.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각 기능간 균형입니다. 따라서 지나치게 낮은 기능을 보이는 (막대가 짧은) 항목이 있으면 해당기술을 먼저 대상으로 삼고 훈련을 시작하면 됩니다. 또, 간혹 중간에 다른 기능에 비해 너무 쳐지는 항목이 있으면 그 부분에 대해 좀 더 오래 시간투자를 하시면 좋아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예시를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아동은 만 4세의 자폐성장애 진단을 받은 남아로, 가상의 인물입니다. 보시다시피 이 아이의 기능은 전 항목에서 비교적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언어와 관련된 2, 4, 5, 7 항목은 그나마 2레벨이지만 나머지 항목은 0 또는 1 레벨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제에 대한 협조순응은 낮고 동작모방이나 사물구별과 같은 기능도 좋지 않습니다. 이런 아동들은 제한적이나마 나름 언어를 이용하고 있으니 기능이 좋을 듯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은 인지가 많이 약해서 오히려 치료나 훈련이 쉽지 않은 케이스입니다. 특히 어른에게 협조 순응이 낮다는 건 텐트럼이나 분노발작으로 의사표시를 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고 언어기능이 다른 기능에 비해 많이 좋은가 하면 사실은 그렇지도 않고요. 그래서 아마 뭔가 과제를 시키려면 아이가 이를 거부하면서 치료실에서 도망가는 경우도 간혹 있을 듯 하네요.


이러한 아동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훈련은 요구하기 기능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요구를 하면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꾸준히 경험시켜주면서 올바른 의사소통의 방법을 알려주는 거죠. 그러면 어른에 대한 협력 순응기능도 덩달아 함께 높아집니다. 요구하기 기능을 가르칠 때는 한 두 가지 주변 물건으로 시작해서 점차 다양한 사물들, 그리고 동작들로 확장해갑니다. 그럼 아이가 강화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늘어나게 되거든요. 이 아이는 동작모방 기능도 많이 낮았습니다. 따라서 팔다리를 들거나 일어서고 앉는 간단하고 쉬운 대근육운동을 모방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제자리 뛰기, 박수치기와 같은 좀 더 복잡한 대근육운동으로 점차 레퍼토리를 늘려 간다면 요구하기 기능의 훈련을 동시에 시킬 수 있습니다. 펜을 쥐거나 가위질을 하는 아주 어려운 소근육 운동은 이러한 대근육 운동의 연습이 충분히 있은 뒤에 실시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대근육도 안되는 아이에게 엄마의 욕심으로 펜을 쥐어주고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건 금물!)


그럼 이 아이의 IEP는 어떻게 설정할까요?

네, 짐작하시다시피, 12개의 질문드린 항목에서 내 아이가 할 수 있었던 레벨의 바로 다음 단계가 이 아이의 목표 IEP 레벨이 됩니다. 따라서 위의 아이의 IEP 목표는 이런 식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


1.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이를 표시하는 말이나 신호를 10개까지 늘린다

2. 원하는 것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표현했을 경우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기회를 하루 30회 이상 만든다

3. 간단하고 쉬운 대근육 동작을 10개까지 모방할 수 있다

4. 아이가 모방할 수 있는 단어 수를 10개까지 늘린다

5. 아이가 물건이나 사물의 이름을 말할 수 있는 훈련을 시작한다

6. 아이가 같은 물건이나 그림의 짝을 맞추는 훈련을 시작한다

등등...


한꺼번에 12가지 기능을 모두 동시에 훈련시키는 건 쉽지 않으니 우선순위를 두어 한 6~7가지를 우선적으로 시키면 됩니다. 그리고 아이의 발전 상황에 맞춰 기능을 하나씩 추가하면서 각 기능의 레벨을 한 단계씩 업 하는 거죠. 그리고 한 기능을 마스터하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 궁금하실 텐데, 많은 경우에 있어 소요시간은 아이의 학습기능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딱 집어 말씀드리기는 곤란합니다만, 이 검사의 원 버전을 황금율로 삼는다면 위의 앞에서 사례를 든 여섯가지 IEP를 마스터하는 데는 약 4개월 정도를 예상합니다.


ABA에 대한 보다 자세한 자료를 원하시면 아래의 자료들을 참조하세요


*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시면 : 다음까페 또미아빠의 <ABA 홈프로그램 가이드북>

* ABA와 그 치료법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 박혜숙 교수(공주대 특교과)의 <당당엄마 특수교육>  시그마프레스 

                                                        : 정경미 교수(연대 심리학과)의 <ABA 프로그램> 학지사

* 본 진단의 원 버전(영문)을 원하시면 Mark Sundberg (BCBA)의 <VB-MAPP> 또는 James Partington (BCBA)의 <ABLLS-R>


이 평가도구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거나 혹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tommydaddy@daum.net


출처 : 발달장애 정보나눔터
글쓴이 : 또미아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