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빅토리아를 위하여..For Victoria...

윤 제림 시인...낭독으로의 초대...고양시 '아람누리 도서관'에서..090715

by 슈퍼맘빅토리아 2009. 7. 23.

 7 월 15일 ...

점심 먹자마자 분주히 저녁준비를 서둘렀다.

마음은 벌써 고양시를 향하는 자유로 도상에서 달려가고..

 

며칠 전, 조선일보 귀퉁이에서 우연히 마주친 '윤 제림'시인의 낭독회 소식에

달뜬 마음으로 아람누리 도서관에 전화를 했다..지하 쉼터에서 진행된다 하였다.

 

 저녁 7시 반...

고양시 아람누리 도서관..

'낭독으로의 초대' 시인 '윤 제림'편..'시인 '김 소연' 진행..

 

시인의 육성으로 시를 새기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억의 단어 중에서 줏어올린 구절...구절

그가 담아낸 바로 그 감성으로 전해지는 시어, 그리고 의미...

'기대'라는 햄스터 한 마리가 며칠동안 가슴 속을 종종거리며 돌아다니다..

 

 

            

              

 

                내가 무슨 복이 있다고 저 대단한 행운을 바라랴..ㅎ

                지나가라, 비껴가라..용서해주었다.

                허나..선택된 열 명 중 마지막 타자로 작가와 사진촬영을 할 수는 있었다.

 

 

 

 

 

 

 

                                                                                 옆모습을 훔쳤지..^^*

 

 

 

 

 

이 선용...중 3 ...홈스쿨링의 혜택을 입는 청소년이다.

아람누리의 관객으로 한번 왔다가 우연히 낭독회의 감초로 뿌리내리게 됐단다.

취미로 3 년 반 동안 연주해 왔다는 클래식 기타...

제법 갖춘 실력...나름대로 재즈 곡도 하나쯤 레퍼토리에  넣은 센스...

친구처럼 챙겨주는 아버지의 모습도 보기좋았다.

그에게 메일로 사진과 연주영상을 쏘아준 키큰 아줌마..호호.. 누굴까..^^*

 

 

 

 

 

 

                          사회를 맡은 김 소연 시인, 선하다 선한 미소의 선용씨, 오늘의 낭독자, 윤 제림 시인..

 

 

 

                                  

                                     도서관측의 책임자이신 분..죄송하게도 뭐라고 불러야 할 지 생각나지 않는다.

 

 

 

                                                                                 드디어 시작이다...

 

 

 

                             

 

 

                                                                                            '백담계곡'

 

 

 

                        

     

제목은 잊었다...

그 먼 길을 걸어 속세에 내려가 부라보 콘 하나 사먹고 또 그길을 걸어 산으로 돌아온 스님..

용기를 내어 자의적 해석을 한 마디 붙였다.

'부라보 콘으로 대변되는 아주 달콤하고 진한 속세의 맛..그것을 못 잊어 잠시 점만 찍고 가는 건 아닌지'...했다가

시인의 의도와는 조금 거리가 있어서 그런지..거부당하는 느낌이었다..ㅎ

물론 '자의적 해석'이라 전제를 단단히 붙였지만...

윤 시인의 시에 대한 자존심은 대단히 정갈하게 다가온다.

 

아마도...내가 지나치게 세속적인가 보다..흠..

 

                 

 

 

                                     '장갑'...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아주 심각하게 다룬...

                                      '그'의 잃어버린 손을 애도하며 나도 울었다..

 

 

                  

 

 

                                  '무등여인숙'...

 

 

                        

 

                               '사랑을 놓치다'...

                                  내가 산 그의 시집 제목이기도 하다.

                                 들어보라...가슴이 아린다..

                                 수없이 만나고...못 알아본 채 수없이 스쳐지나간...사랑..!

 

 

                      

 

                                                                          ..., 사랑,...

 

                       

 

 

                                                    사람의 저녁...

 

 

 

                          

 

 

                             '강물처럼', '목련에게'...!!!

 

 

 

 

 

 

                                소나무 사진...그는 소나무를 유난히 사랑한다...소가 죽어 소나무가 되었다고 시를 쓰는 사람...

 

 

 

 

 

 

 

 

 

                               팬 사인회가 시작되고...상기된 표정으로 사인을 기다리는 아마추어 시인들..

 

 

 

                                                                             사인을 받은 마지막 사람...

 

 

 

 

                                         내가 내민 네임펜을 극구 사양하시고 당신의 붓 펜으로 이름 석 자 새겨주신다..

 

 

** 우선 이쯤 올려놓고 갑니다.. 

    돌아와서 윤색하여 다시 올릴 생각입니다.

    새벽부터 분주히 서둘러 아들과 함께

 천안, 부근 '목천' 국립 청소년 수련원으로 이박삼일 캠프 떠납니다..

   토요일 오후 늦게 돌아올 계획입니다..

   그간 건안하시기 바랍니다.. Ciao~